아동심리학(5)
-
혼자 노는 아이, 사회성 기르는 방법
아이가 다른 또래들보다 더 똘똘하진 않더라도 사회성이 좋은 아이로 컸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이 있죠. 오늘은 인상 깊게 읽게 된 내용 중,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혼자 노는 아이', '사회성'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혼자 노는 이유 1. 아직 혼자 놀이하는 연령 3세 이전 영아는 친구들과 자신의 것을 공유하고 협동놀이를 하기보다, 놀잇감이나 주양육자와 상호작용하며 '혼자놀이'를 하거나 비슷한 관심사의 놀이를 각자 놀이하는 '병행 놀이'를 하는 시기입니다. 아직 3살밖에 되지 않았는데 친구들과 놀잇감을 같이 쓰지 않거나 혼자서만 놀이한다고 걱정하는 것은 아이의 발달상의 특징을 이해하지 못한 것과 같습니다. 2. 기질이 예민하고 고집이 센 경우 아이마다 기질, 성격이 다르지요. 어떤..
2020.06.04 -
성격 좋은 아이로 키우기는 OO에게 달려있다.
우리의 '성격'과 관련된 글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태어날 때 신생아 때의 모습은 모두 비슷하게 느껴지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같은 자극에도 제각각으로 다르게 반응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그러면서 아이가 가족, 사회를 만나며 수많은 후천적인 요인을 통해서도 나만의 성격을 형성하게 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어릴 때의 성격과 지금의 내 성격이 많이 달라지는 사람도 있지만, 자신이 선천적으로 갖고 태어난 기질은 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기질만으로는 성격을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태어난 후에도 수많은 환경에 적응하고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성격이 발달하기 때문입니다. 가장 중요한 건 '가정환경' 성격은, 선천적인 기질과 함께 가정환경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습니다.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그 중요성에 대해 ..
2020.06.01 -
거짓말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
거짓말하는 아이의 모습을 보면 어떤가요? 아이가 이전과는 다르게 거짓말을 하는 모습을 발견했을 때, 아마 아이의 부모는 많이 놀랄 수 있습니다. 초보 엄마는 많이 놀라고 당황할 것입니다. 우리의 도덕적인 관념 속에는 "거짓말은 나쁜 것이다."라는 생각이 뿌리 깊게 박여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곧장 부모는 이 모습을 보고 호되게 혼내거나 잘못한 일이라고 가르치게 됩니다. 이런 상황일 때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거짓말하는 아이'에 대한 주제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 이유 아이가 거짓말을 왜 하는 걸까요. 먼저, 아이의 발달적인 특성을 짚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 3세 정도의 유아의 경우, 아직 논리적인 사고 체계가 잘 잡혀있지 않아,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기보다는, 자신의 생각,..
2020.05.22 -
스마트폰이나 텔레비젼을 못보게 하면 우는 아이에겐?
텔레비전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영상매체를 많이 접하고 부모님들도 외출 시에는 필수적으로 아이들에게 보여주곤 합니다. 어느새 식당이나 카페에 가면 아이들이 스마트폰에서 영상을 보고 있는 것을 일상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아이들과 부모님을 위해서 스마트폰을 보여주지 않을 수 없는 것도 사실입니다. 사실은, 아이를 영상매체의 유혹으로부터 떼어놓는 것도 어렵지만, 부모님부터가 솔선수범하게 스스로 스마트폰이나 텔레비전을 보지 않기가 더 쉽지 않습니다. 많은 부모님들이 걱정하고 고민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스마트폰과 텔레비전을 계속 찾는 아이에게 어떻게 하면 좋을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스마트폰과 텔레비전 보여줄 때 주의사항 1. 아이 혼자 보게 두지 않기. 만약에 부모님이나 아이가 같이 보는 것은 ..
2020.05.22 -
무조건 사달라고 떼쓰는 아이, 훈육은 어떻게 해야할까?
아동학 전공을 하고 아이들과 부모님들과 계속 교류해오면서 부모님들의 다양한 고민을 들었는데요, 그 과정에서 다양한 책과 실제 사례들을 통해 공부를 하면서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안 그랬는데 요즘에 너무 떼쓰기가 늘었어요' 하시면서 커가는 아이의 몸과 생각, 마음에 어려움을 호소하시는 부모님들이 많은데요, 함께 알아볼까요. 물건에 대한 소유욕이 생기는 시기. 아이들은 20개월이 지나면서 점차 세상을 자기중심적으로 보는 시기가 됩니다. "내가 원하는 것은 다 가질 수 있어"라는 생각을 하게 되지요. 이때가 되면서 자신이 하고 싶은 것, 물건에 대한 소유욕도 무척 강해지는 시기예요.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은, 아이가 이제는 물건을 소유하고 싶은 욕구와, 자아를 만들어가는 과정의 일부 중에 있구나...
2020.05.21